
개요
TigerVNC 는 LibVNCServer 라이브러리를 활용한 오픈소스 VNC 서버/클라이언트 프로젝트입니다. 이 글에선 windows에 TigerVNC 서버를 설치하여 맥에서 원격 접속을 시도해 보겠습니다.
TigerVNC Server 설치
https://tigervnc.org/ 에 접속하여 GitHub release page 를 클릭해주세요.

위 링크를 클릭하면, 최신 버전의 SourceForge 링크를 클릭하세요.

tigervnc64-winvnc-1.14.1.exe 를 선택해 주세요. 32비트만 제공하는 아주 오래된 원도우 PC라면 tigervnc-winvnc-1.14.1.exe 를 선택해 주세요.

다운받은 파일을 통해 TigerVNC Server를 설치합니다. 만약 아래와 같이 뜰 경우 추가정보 를 클릭한 다음 실행을 선택하세요.

windows 서버용 프로그램은 현재 꾸준히 업데이트되고 있지 않습니다. 아래와 같이 경고문이 나옵니다. 확인 클릭해주세세요.

이후 기본값으로 설치 단계 진행하면 됩니다.

PC 재부팅
TigerVNC Server를 설치하였으면 재부팅을 한번 해주세요.
올바르게 설치되었다면, 재부팅 후 TigerVNC 로고가 하단 우측 목록에 생겼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비밀번호 세팅
위 상태에서 로고를 마우스에 올린 채로 우클릭하세요. Options 을 선택하세요.

Security > Authentication > Configure 를 선택하세요.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VNC 비밀번호는 RFC 명세에 따라 8자리까지 설정 가능합니다.
To form the key, the password is truncated to eight characters
- https://datatracker.ietf.org/doc/html/rfc6143

TigerVNC Server 방화벽 허용
윈도우 검색창에서 ' Windows Defender ' 입력하시면, Windows Defender 방화벽이 검색됩니다. 그것을 선택해 주세요.

좌측 메뉴 목록에서 Windows Defender 방화벽을 통해 앱 또는 기능 허용을 선택해 주세요.

설정 변경을 클릭해주세요.

TigerVNC Server를 찾아 모두 체크해 주세요. 그 후 확인을 눌러주세요.

맥 화면 공유로 접속
안내
맥이 윈도우 PC와 동일한 로컬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다고 가정합니다.
사파리 주소에 vnc://윈도우PC아이피 를 입력하여 맥 화면 공유 프로그램을 실행하세요. 위 과정에 문제가 없다면 접속 가능함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맥 화면 공유 프로그램이 동일한 VNC 프로토콜을 지원하기에 가능합니다.

실 사용 후 개인적인 생각
많이 별로입니다. 프레임이 끊기게 나옵니다. 맥 <> 맥 화면 공유는 매우 쾌적하게 작업할 수 있었는데 아쉽네요.
보안도 문제가 있다고 합니다. 실제로 사용하기에는 문제가 많네요.
참고) 프로그램 위치
C:\ProgramData\Microsoft\Windows\Start Menu\Programs\TigerVNC Server\VNC Server (Service-Mode)
참고 자료
How to set up on windows? · Issue #893 · TigerVNC/tigervnc
Hello, pardon my obvious ignorance, but I simply don't understand how to install the software. I can't find any help guide, can't see in the latest zip file anything remotely familiar to an install...
github.com
Setup TigerVNC server (Windows)
High performance, multi-platform VNC client and server - TigerVNC/tigervnc
github.com
'소프트웨어 & 클라우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Jupyter] Windows WSL2 에서 Jupyter Lab 원격 접속 세팅하기 (0) | 2025.02.10 |
---|---|
[Anaconda] tensorflow GPU 환경 설치 및 전환 명령어 (0) | 2025.01.17 |
[Windows] WSL2 .wslconfig 수정하여 사용 메모리 수정하기 (0) | 2025.01.01 |
[Chrome] 구글 크롬 위치 정보 수정하기 (1) | 2024.12.30 |
[Windows] 윈도우 11 -> WSL2 포트 포워딩 하기 (0) | 2024.1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