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국내 기업이 미국 증시에 상장하는 방법은 Flip, 해외주식예탁증서 로 크게 두 가지 방식이 존재합니다.
방법 1 : Flip 전략
국내 법인(자회사) 의 주식을 100% 보유한 미국 법인(모회사) 을 미국 시장에 상장하는 방법입니다.
* 적용 사례 : 쿠팡
국내 이커머스 기업 쿠팡은 미국 쿠팡 법인을 설립해 한국 쿠팡의 주식을 모두 양도하고, 미국 쿠팡을 미국 증시에 상장하였습니다.
참고) 이때 양도소득세는 당연히 부과됩니다. 그런데 세법 상 '국내에 주소를 두거나' '183일 이상 국내에 거소한' '거주자'에게만 양도소득세 의무가 있으므로 미국에 주소를 두고 몇 개월 이상 거주한다면 양도소득세 납부 의무가 없습니다.
방법 2 : 해외주식예탁증서 상장
* 예탁증서 (DR)
국내 상장 주식 시장의 주식을 해외에 두고 해당 주식의 소유권을 인정하는 증서입니다.
- 미국 증시에 발행한 예탁증서 -> ADR
- 유럽 증시에 발행한 예탁증서 -> EDR
으로 상장한 국가에 따라 ADR, EDR 등으로 명명합니다.
* 적용 사례 : ASML
반도체 제조 장비 기업 ASML은 네덜란드 증시에 본주가 상장되어 있지만 미국 증시 나스닥에서 ADR을 발행하고 있습니다. 나스닥에서 ASML 주식을 매매할 수 있습니다.
참고 자료
https://kr.investing.com/equities/asml-holdings
'기타 > 생활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융/세금] 연말 정산 월세 세액공제, 고향사랑 이음, 주택청약종합저축 납입 소득공제 (1) | 2024.12.11 |
---|---|
[금융/세금] 연말정산 vs 종합소득세 신고, 소득공제 vs 세액공제 (10) | 2024.09.28 |
[금융] 실시간 총액결제 시스템 RTGS (Real-time gross settlement) (2) | 2024.09.26 |
[법] 변호사 의뢰인 비밀보호 제도 ACP (Attorney client privilege) (6) | 2024.09.22 |
[경제] 워터폴 분배 Waterfall Distribution (3) | 2024.09.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