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52 [Kotlin] 코틀린 제네릭(Generics)의 기본 코틀린은 타입 안정성과 유연함 극대화에 대한 고민을 통해 만들어진 언어입니다. 이번 글을 통해 코틀린 제너릭이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제너릭 (Generic) 제너릭은 클래스 내부에서 사용하는 변수의 자료형을 외부에서 설정할 수 있도록 돕는 기법입니다. 아래의 코드를 보면 동일한 클래스 Phone 내의 version변수가 아이폰은 문자열, 갤럭시는 정수로 저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갤럭시의 버전이 항상 정수로 이루어져 있고 아이폰의 버전은 항상 문자열로 표시, 저장되어야 할 때(예시를 위한 가정) 이 상황에서 제너릭은 기존의 엄격한 타입 체킹의 제약에서 벗어나는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fun main() { var iphone: Phone = Phone("14ProMax") var galax.. 2023. 7. 5. [백준] 2839 설탕 배달 요약 DP bottom-up 방식으로 문제를 풀면 됩니다. 기존 존재하는 값과의 비교를 통해 최솟값을 갱신하는 구조, 문제 풀이에는 크게 문제가 없었지만 index out of range 에러를 방지하기 위한 N 과 i+3, i+5 과의 비교 식을 잘못 작성하였었습니다. 솔루션 def getMinCount(N): dp = [-1 for _ in range(N+1)] if N >= 3: dp[3] = 1 if N >= 5: dp[5] = 1 for i, v in enumerate(dp): if v == -1: continue if N >= i+3: if dp[i+3] == -1 or v+1 = i+5: if dp[i+5] == -1 or v+1 < d.. 2023. 7. 2. [자동매매] 23-07-02 모델 변경, 학습 방법 변경 학기 수업에서 진행한 자동매매 봇에 대한 업데이트 기록입니다. 기존 모델 개선 colab pro 요금제에서 제공하는 메모리를 초과(26GB), 학습에 사용하는 모델의 크기에 비해 비정상적인 크기로 q_table 수정, state의 갯수를 4개로 줄이고 bin_size를 8개에서 32개로 늘려(이산화 크기) 25+GB의 모델 크기를 1.2GB 이하로 축소하였습니다. 이전 6분간의 시세 차이 대신 이전 120분간의 시세의 통계값, 120분간의 거래량으로 q_table의 state를 변경(평균값, 최대값 및 최소값의 차, 중간값 등)하였습니다. 테스트 시 손실 한도 적용 일종의 서킷 브레이커로 테스트 데이터를 통해 자동매매를 진행할 때 누적 손해가 일정치 이상으로 발생할 경우 해당 테스트를 중단하도록 설정하였.. 2023. 7. 2. [React-Native] android CodePush 를 통해 업데이트 진행하기 이 글은 앞선 React-Native 프로젝트의 app center 설정이 완료된 전제하에 진행합니다. 설정을 완료하지 않은 경우 먼저 app center sdk 설치 관련 글을 참고하세요. android CodePush 가이드 - 1. [React-Native] android App Center SDK 등록하기 - 2. [React-Native] android CodePush 시작하기 - 3. [React-Native] android CodePush 를 통해 업데이트 진행하기 (현재 글) Staging Developement 진행 먼저 프로젝트 디렉토리에서 appcenter 로그인을 진행합니다. appcenter login ... Logged in as appcenter사용자이름 아래 명령을 통해 st.. 2023. 6. 25. [Python3] 백준 문제 풀이에 사용되는 입력 코드 자주 사용하는 입력 양식입니다. test_cases = int(input()) for _ in range(test_cases): n = int(input()) values1 = list(map(int, input().split())) values2 = list(map(int, input().split())) #... 2023. 6. 25. [android] gradle 스크립트 파일에 대한 모든 이해 소개 gradle은 Groovy 또는 Kotlin을 사용하여 다양한 플랫폼 개발의 자동화를 돕는 스크립트 도구입니다. 저는 네이티브 안드로이드 앱 개발과 React-Native 앱 개발을 하는 과정에서 gradle 스크립트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안드로이드 앱 개발 시 활용하는 gradle 을 설명하겠습니다. android 앱 개발에서의 gradle 안드로이드 생태계에선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gradle을 활용합니다. 아래 스크린샷은 한 프로젝트에 일반적으로 포함되는 gradle 파일들입니다. settings.gradle 프로젝트의 root 디렉토리에 위치하며 프로젝트 단위의 설정 파일 하나의 프로젝트에는 하나가 아닌 여러 개의 모듈이 있을 수 있음 아래와 같이 android.. 2023. 6. 24. 이전 1 ··· 22 23 24 25 26 27 28 ··· 42 다음